야마시타 타츠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시타 타츠로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이다. 1970년대 초 슈가 베이브의 멤버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으며, 1976년 솔로 데뷔 후 《CIRCUS TOWN》, 《RIDE ON TIME》, 《FOR YOU》, 《POCKET MUSIC》, 《COZY》 등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일본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크리스마스 이브"는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차트에 오르는 곡으로 유명하다. 타케우치 마리야의 앨범 프로듀싱, 킨키 키즈 등 다른 가수들에게 곡을 제공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 타케우치 마리야
타케우치 마리야는 1978년 데뷔하여 'SEPTEMBER', 'Plastic Love'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시티팝 재조명에 영향을 미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음악 프로듀서이다. -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 센주 아키라
센주 아키라는 일본의 작곡가이자 편곡가로,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음악을 제작하며, 일본 아카데미상과 드라마 아카데미상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 일본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스가 시카오
스가 시카오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 DJ, 라디오 진행자이며, 펑크, 소울,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 스타일로 활동하며, SMAP, KAT-TUN, 아라시 등 다른 아티스트에게 곡을 제공하는 작사,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 일본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도모토 츠요시
도모토 츠요시는 1979년 일본에서 태어나 킨키 키즈로 데뷔하여 가수, 배우 활동을 하며, 다양한 프로젝트명으로 솔로 활동을 통해 독창적인 음악과 예술적 재능을 선보인 아티스트이다. - 도쿄도 구부 출신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도쿄도 구부 출신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야마시타 타츠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야마시타 다쓰로 |
원어 이름 | 山下 達郎 |
로마자 표기 | Yamashita Tatsurō |
출생 | 1953년 2월 4일 (71세) |
출생지 | 도쿄도도시마구이케부쿠로 |
국적 | 일본 |
직업 |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 |
활동 기간 | 1975년–현재 |
배우자 | 다케우치 마리야(1982년 결혼) |
자녀 | 1명 |
![]() | |
공식 웹사이트 | 야마시타 다쓰로 공식 웹사이트 |
음악가 정보 | |
활동 장르 | 시티 팝 디스코 펑크 가요 R&B 소프트 록 소울 |
악기 | 보컬 기타 피아노 키보드 드럼 퍼커션 |
레이블 | AIR Moon Niagara RCA RVC 워너 뮤직 재팬 EastWest Japan MMG |
학력 | |
학력 | 도쿄도립 다케하야 고등학교 졸업 메이지 대학 법학부 중퇴 |
추가 정보 | |
관련 활동 | 슈가 베이브 오타키 에이이치 앨런 오데이 고스기 리우조 구로이와 도시유키 고스기 슈스이 |
소속사 | 스마일 컴퍼니(가수) 텐더베리&하베스트(음악가, 녹음 원반 관리자) |
사용 악기 | 펜더 텔레캐스터 |
참고 정보 | |
로마자 표기 관련 | 영어 크레딧에서 Tatsuro를 Tatsu 혹은 Tats로 표기하기도 함. |
수상 기록 | |
크리스마스 이브 | 오리콘 주간 싱글 랭킹 톱 100에 35년 연속 진입 |
2. 경력
오누키 다에코, 무라마쓰 쿠니오와 함께 슈가 베이브(Sugar Babe)라는 밴드를 결성하여 1975년에 유일한 앨범 ''Songs''를 발매했다.[1] 1976년 밴드 해체 후, RCA와 계약하고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같은 해에 앨범 ''CIRCUS TOWN''을 발매했다. 또한 오타키 에이이치[19],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을 발매했는데, 이 앨범은 MTV에 의해 당시 최고의 협업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0] 1979년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 앨범인 ''문글로우 (Moonglow)''를 발매했고,[21] 1980년 발표한 곡 ''Ride on Time''은 오리콘 차트에서 3위에 올랐으며, 동명의 앨범은 차트 정상에 올랐다.[22][23][24]
야마시타의 음악은 1980년대 초반 ''Ride on Time''과 ''For You''에서처럼 일본 야외 음악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25][26][27] 1983년 앨범 ''멜로디스 (Melodies)''에 처음 수록된 "Christmas Eve"는 그의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이자 1980년대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싱글이다.[7][8][9] 이 곡은 1990년 차트 1위를 차지했고, 이후 매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일본 차트 100위 안에 들었으며, JR 중앙의 "크리스마스 익스프레스" 광고 음악으로 가장 유명하다.[32]
2011년, 앨범 ''Ray of Hope''로 주간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하며, 40년 연속으로 매 10년마다 차트 1위를 기록한 네 번째 가수가 되었다.[28][29]
음악 제작에 대한 헌신으로 "사운드 장인"이라고 불린다.[30][31] 보컬 백업, 기타 편곡, 신디사이저, 타악기 등을 포함하여 일부 노래를 전적으로 혼자 녹음했다. 주로 어쿠스틱 기반이지만, 아날로그 및 디지털 레코딩,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포함한 최신 음악 제작 기술을 보여준다.
고스기 리우조를 통해 쟈니즈 사무소와 인연을 맺어, 콘도 마사히코의 「하이틴 부기」(1982년), 킨키 키즈의 「유리의 소년」(1997년), 「제트코스터 로망스」(1998년) 등의 히트곡과 쟈니즈 소속 연예인 출연 작품의 주제가를 만들었다.
오타키 에이이치처럼 레코드・CD 수집가이자 오디오 매니아이며, 록, R&B, 팝스에 대한 조예가 깊고, 아날로그 음반은 오리지널을 중심으로 수집하여 소장 총 수는 6만 장을 넘는다.[71]
2010년대 베이퍼웨이브 붐으로 작품이 발굴되어 해외로 퍼져나갔다. 다케우치 마리야의 「플라스틱 러브」는 비공식 영상임에도 유튜브에서 1억 회 이상 재생되었다.
텔레비전, DVD, 블루레이 등에 출연하지 않고, 일본무도관 같은 대규모 아레나급 공연장에서 콘서트를 하지 않으며, 저서를 쓰지 않는다는 세 가지 고집이 있다.
2. 1. 1950년대
야마시타 타츠로는 비치 보이스의 열렬한 팬으로, 브라이언 윌슨을 비롯한 미국의 팝/록 뮤지션들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자신의 앨범에 비치 보이스의 커버곡을 수록하기도 했으며, 일본 두왑에 대한 깊은 조예를 가지고 있다. 1인 아카펠라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하기와라 켄타와 함께 일본에서 비치 보이스 팬의 대표격으로 꼽힌다.음악 제작에 대한 끈기와 독자적인 제작 자세로 "소리의 장인"이라고도 불린다.[68][69] 보컬, 백코러스는 물론, 편곡에서부터 기타, 컴퓨터 프로그래밍, 신시사이저, 퍼커션까지 혼자서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2. 1. 1. 1953년
2월 4일, 도쿄도 이케부쿠로에서 태어났다.2. 1. 2. 1957년
山下達郎일본어는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인해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68][69]2. 1. 3. 1959년
都市馬区立池袋第五小学校일본어|としばくりつ いけぶくろ だいごしょうがっこう|도시마구립 이케부쿠로 제5소학교}}(현 都市馬区立池袋小学校일본어|としばくりつ いけぶくろしょうがっこう|도시마구립 이케부쿠로 소학교}})에 입학했다.2. 2. 1960년대
1953년 2월 4일 도쿄도 이케부쿠로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음악 교사의 권유로 클럽과 마칭밴드에서 스네어 드럼을 담당하며 악기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965년 도시마구립 고타다 중학교(현 도시마구립 센토세바시 중학교)에 진학하여 브라스 밴드부에서 활동하며 타악기를 연주했다. 우쿨렐레를 선물받은 것을 계기로 기타를 독학으로 연습하기 시작했다.
1966년 가족과 함께 네리마구 헤이와다이로 이사했다. 친구들과 아마추어 밴드 '디 바우어른'을 결성하여 드럼을 담당했다.
1968년 도쿄 도립 다케하야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부모님께 드럼 세트를 선물받고 음악에 더욱 몰두하게 되었다.[68]
1969년 아버지의 전근으로 초등학교 2학년부터 6학년까지 군마현 다카사키시와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에서 살았다.[3] 중학교 입시를 위해 다시 도쿄로 돌아왔으며,[3] 중학교 시절에는 취주악부에서 트럼펫을 담당했다.[4] 고등학교는 가쿠슈인에 진학했지만,[5]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전공투 운동에 참여하는 등 방황의 시기를 보냈다.[6]
2. 2. 1. 1964년
1953년 2월 4일 도쿄도 이케부쿠로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음악 교사의 권유로 클럽과 마칭밴드에서 스네어 드럼을 담당하며 악기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2. 2. 2. 1965년
1965년 도시마구립 고타다 중학교(현 도시마구립 센토세바시 중학교)에 진학하여 브라스 밴드부에서 활동하며 타악기를 연주했다. 우쿨렐레를 선물받은 것을 계기로 기타를 독학으로 연습하기 시작했다.2. 2. 3. 1966년
가족과 함께 네리마구 헤이와다이로 이사했다. 친구들과 아마추어 밴드 '디 바우어른'을 결성하여 드럼을 담당했다.2. 2. 4. 1968년
1968년 도쿄 도립 다케하야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부모님께 드럼 세트를 선물받고 음악에 더욱 몰두하게 되었다.[68]2. 2. 5. 1969년
도쿄도 이케부쿠로에서 태어났지만, 아버지의 전근으로 초등학교 2학년부터 6학년까지 군마현 다카사키시와 효고현 아마가사키시에서 살았다.[3] 중학교 입시를 위해 다시 도쿄로 돌아왔다.[3] 중학교 시절에는 취주악부에서 트럼펫을 담당했다.[4]고등학교는 가쿠슈인에 진학했지만,[5]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전공투 운동에 참여하는 등 방황의 시기를 보냈다.[6]
2. 3. 1970년대 전반
오누키 다에코 등과 함께 슈가 베이브를 결성하여 1975년 앨범 『SONGS』로 데뷔했다. 오타키 에이이치의 니아가라 레코드에서 슈가 베이브 프로듀스를 맡았고, 일본 컬럼비아 시절 작품에는 코러스와 스트링스 편곡으로 참여했다. 특히 오타키의 솔로 앨범 『NIAGARA MOON』(1975년)과 『NIAGARA CALENDAR』(1977년)에 깊이 관여했다.[70] 1975년경부터 다른 싱어, 뮤지션에게 곡을 제공하기 시작했다.2. 3. 1. 1971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야마시타 타츠로는 음악에 전념하면서 재수 생활을 했다.[70]2. 3. 2. 1972년
메이지대학 법학부에 입학했으나 3개월 만에 중퇴했다. 아마추어 밴드 친구들과 앨범 《ADD SOME MUSIC TO YOUR DAY》를 자체 제작했다.[70]2. 3. 3. 1973년
오누키 다에코, 무라마쓰 쿠니오 등과 함께 슈가 베이브를 결성했다. 같은 해 9월 21일, 해피엔드의 마지막 콘서트에서 오타키 에이이치 & 코코넛 뱅크의 백 코러스를 슈가 베이브가 맡았다.[70]2. 3. 4. 1974년
오타키 에이이치의 니아가라 레코드에서 슈가 베이브 프로듀스를 맡았고, 일본 컬럼비아 시절 작품에는 코러스와 스트링스 편곡으로 참여했다. 특히 오타키의 솔로 앨범 『NIAGARA MOON』(1975년)과 『NIAGARA CALENDAR』(1977년)에 깊이 관여했다.2. 4. 1970년대 후반
오누키 다에코, 무라마쓰 쿠니오와 함께 슈가 베이브(Sugar Babe)라는 밴드로 활동했던[17] 야마시타 타츠로는 1976년 밴드가 해체된 후, RCA와 계약하고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앨범 ''CIRCUS TOWN''을 발매했다. 오타키 에이이치[19],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을 발매했는데, 이 앨범은 MTV에 의해 당시 최고의 협업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0] 1979년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 앨범인 ''문글로우 (Moonglow)''를 발매했다.[21]2. 4. 1. 1975년
오누키 다에코 등과 함께 슈가 베이브를 결성하여 1975년에 니아가라 레코드에서 앨범 《SONGS》로 데뷔했다.[17][18][1] 오타키 에이이치는 니아가라 레코드에서 프로듀스를 맡았고, 일본 컬럼비아 시대 작품에 코러스와 스트링스 편곡으로 참여했다. 특히 오타키의 솔로 앨범 《NIAGARA MOON》(1975년)과 《NIAGARA CALENDAR》(1977년)에 깊이 관여했다.2. 4. 2. 1976년
오누키 다에코, 무라마쓰 쿠니오와 함께 슈가 베이브(Sugar Babe)라는 밴드로 활동했던[17] 야마시타 타츠로는 1975년에 유일한 앨범 ''Songs''를 발매했다.[18][1] 1976년 밴드가 해체된 후, RCA와 계약하고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같은 해에 앨범 ''CIRCUS TOWN''을 발매했다. 또한, 오타키 에이이치[19],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을 발매했는데, 이 앨범은 MTV에 의해 당시 최고의 협업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0]2. 4. 3. 1977년
1977년에 앨범 《SPACY》를 발매했다.[17]2. 4. 4. 1978년
라이브 앨범 《IT'S A POPPIN' TIME》을 발매했다. 앨범 《GO AHEAD!》를 발매했다.2. 4. 5. 1979년
1979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첫 솔로 싱글 〈LET'S DANCE BABY〉를 발매했다.[21] 싱글 〈BOMBER〉는 오사카의 디스코를 중심으로 히트했다.[21] 같은 해, 앨범 《MOONGLOW》와 싱글 〈영원한 FULL MOON〉을 동시에 발매했고,[21]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앨범 《문글로우 (Moonglow)》로 상을 받았다.[21]2. 5. 1980년대 전반
오누키 다에코, 무라마쓰 쿠니오와 함께 슈가 베이브(Sugar Babe)라는 밴드로 활동했던 야마시타 타츠로는 1975년에 유일한 앨범인 ''Songs''를 발매했다.[18][1] 1976년 밴드 해체 후, RCA와 계약하고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같은 해에 앨범 ''Circus Town''을 발매했다. 오타키 에이이치[19],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을 발매했는데, 이 앨범은 MTV에 의해 당시 최고의 협업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0] 1979년 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 앨범인 ''문글로우 (Moonglow)''는 평범한 성공을 거두었고,[21] 1980년에 발표한 곡 ''Ride on Time''이 오리콘 차트에서 3위에 오르고, 동명의 앨범이 차트 정상에 오르면서 스타덤에 올랐다.[22][23][24]야마시타의 음악은 ''Ride on Time''과 ''For You''에서 보여지듯이 일본 야외 음악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25][26][27]
2. 5. 1. 1980년
싱글2. 5. 2. 1981년
1981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첫 자체 스튜디오인 '스마일 가라지'를 열었다.[17]2. 5. 3. 1982년
1982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앨범 《FOR YOU》를 발매하여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음악적 평가를 확립했다.[27] 이 앨범은 일본 야외 음악의 상징으로도 여겨진다.[25][26] 같은 해, 다케우치 마리야와 결혼했다.[35]2. 5. 4. 1983년
1983년 문 레코드 이적 후 첫 싱글 〈고기압 걸〉을 발매했다.[7][8][9] 같은 해, 앨범 《MELODIES》를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이후 그의 대표곡이 된 〈크리스마스 이브〉가 수록되어 있으며, 싱글 〈크리스마스 이브〉는 12인치 한정 픽처 디스크로 발매되었다.[32]2. 5. 5. 1984년
1984년에 《BIG WAVE》를 발매했다.[32]2. 6. 1980년대 후반
1980년대 초, 야마시타 타츠로의 음악은 《Ride on Time》과 《For You》에서 보여지듯이 일본 야외 음악의 상징으로 여겨졌다.[25][26][27] 그의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이자 1980년대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싱글인[7][8][9] "Christmas Eve"는 1983년 앨범 《멜로디스 (Melodies)》에 처음 수록되었다. 이 곡은 JR 중앙의 "크리스마스 익스프레스" 광고 음악으로 가장 유명하며,[32] 발매 이후 약 200만 장이 판매되었고, 매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소량의 한정판으로 계속 판매되고 있다. 앨런 오데이가 작사한 영어 버전의 노래도 야마시타가 녹음했으며, 펜타토닉스, 코모도스, 올 포 원, 이디나 멘젤 등의 아티스트들이 커버했다.야마시타 타츠로는 음악 제작에 대한 끈기와 독자적인 제작 자세 때문에 “소리의 장인”이라고도 불린다.[68][69] 레코딩에서는 보컬, 백코러스는 물론, 편곡에서부터 기타, 컴퓨터 프로그래밍, 신시사이저, 퍼커션까지 혼자서 담당한다. 특히 기타의 리듬 카팅에 능숙하다. 아쿠스틱한 느낌이 강한 음악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지만, 최신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침이기 때문에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1980년대 후반에 사용한 악기는 다음과 같다.
악기 종류 | 모델명 | 비고 |
---|---|---|
일렉트릭 기타 | 펜더 텔레캐스터(USA·1970년대)(브라운)[77] | 메인 기타. 《포 유》(1982년) 이후 라이브, 레코딩, 녹음, 기타 솔로 등 거의 이 기타를 사용. |
펜더 텔레캐스터(펜더 커스텀 샵 제)(선버스트) | 서브 기타. | |
펜더 스트라토캐스터(화이트) | ||
깁슨 ES-335(세미아코) | ||
어쿠스틱 기타 | 마틴 D-28 | |
길드 D-50 | 원래는 오카바야시 노부야스가 소유했던 것을 시이나 카즈오를 통해 양도받은 것 | |
깁슨 쳇 애킨스 모델(일렉트로 어쿠스틱, 일렉트로 가트) | 라이브에서 사용 | |
이펙터 | MXR 디스토션 +(디스토션) | |
MXR 다이나 컴프(컴프레서) | ||
보스 CE-3(아날로그 코러스) | ||
신디사이저 | 야마하 DX7 | |
야마하 SY99 | ||
피아노 | 펜더 로즈 피아노 | |
야마하 CP 시리즈 |
2. 6. 1. 1985년
1985년에 야마시타 타츠로는 싱글 〈바람의 회랑〉을 발매했다.2. 6. 2. 1986년
1986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앨범 《포켓 뮤직》, 《ON THE STREET CORNER 1 ('86 VERSION)》, 《ON THE STREET CORNER 2》를 발매했다.2. 6. 3. 1987년
1987년 싱글 〈춤춰라, 피시〉를 발매했다.2. 6. 4. 1988년
Christmas Eve영어가 JR 도카이의 크리스마스 캠페인 CM송으로 사용되어 크게 히트했다.[32]2. 6. 5. 1989년
JOY –TATSURO YAMASHITA LIVE–영어라는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다. 〈크리스마스 이브〉가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7]2. 7. 1990년대 전반
1983년 앨범 ''멜로디스 (Melodies)''에 처음 수록된 "Christmas Eve"는 야마시타 타츠로의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이자 1980년대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중 하나이다.[7][8][9] 이 곡은 1990년 차트 1위를 차지했고, 그 이후로 매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일본 차트 100위 안에 들었다. JR 중앙의 "크리스마스 익스프레스" 광고 음악으로 가장 유명하며,[32] 발매 이후 약 200만 장이 판매되었고, 매 크리스마스 시즌마다 소량의 한정판으로 계속 판매되고 있다. 앨런 오데이가 작사한 영어 버전의 노래도 야마시타가 녹음했으며, 펜타토닉스, 코모도스, 올 포 원, 이디나 멘젤 등의 아티스트들이 커버했다.1990년대에 들어서도 야마시타 타츠로는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대표적인 활동은 다음과 같다.
- 1990년: 싱글 엔들리스 게임 발매[32]
- 1991년: 앨범 아티산 발매[30][31]
- 1992년: 싱글 아톰의 아이/블로우 발매
- 1993년: 싱글 〈매직 터치〉, 앨범 시즌스 그리팅스 발매
- 1994년: 슈가 베이브일본어의 싱글 〈퍼레이드〉 발매[17]
2. 7. 1. 1990년
1990년, 싱글 〈엔들리스 게임〉을 발매했다.[32]2. 7. 2. 1991년
1991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앨범 《아티산》을 발매했다.[30][31]2. 7. 3. 1992년
1992년 싱글 〈아톰의 아이/블로우〉를 발매했다.2. 7. 4. 1993년
1993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싱글 〈매직 터치〉를 발매했다. 또한 앨범 《시즌스 그리팅스》를 발매했다.2. 7. 5. 1994년
シュガー・ベイブ일본어의 싱글 〈퍼레이드〉를 발매했다.[17]2. 8. 1990년대 후반
1990년대 후반, 야마시타 타츠로는 활발한 음악 활동을 펼쳤다. 1995년 싱글 〈세계의 끝까지〉와 베스트 앨범 《TREASURES》를 발매했고, 1996년에는 새로운 자사 계열 스튜디오 '플래닛 킹덤'을 열었다.킨키 키즈의 데뷔 싱글 〈유리의 소년〉(1997년)과 〈제트코스터 로망스〉(1998년) 등을 작곡하며 쟈니즈 사무소 소속 가수들의 히트곡 제작에도 참여했다. 1998년에는 자신의 싱글 〈헤론〉과 앨범 《COZY》를 발매했다.
2. 8. 1. 1995년
싱글 〈세계의 끝까지〉를 발매했다. 베스트 앨범 《TREASURES》를 발매했다.2. 8. 2. 1996년
1996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새로운 자사 계열 스튜디오인 '플래닛 킹덤'을 열었다.2. 8. 3. 1997년
킨키 키즈의 데뷔 싱글 〈유리의 소년〉을 작곡, 프로듀스했다.[1]2. 8. 4. 1998년
1998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싱글 〈헤론〉과 앨범 《COZY》를 발매했다. 같은 해 킨키 키즈의 〈제트코스터 로망스〉를 작곡했다.[68]2. 8. 5. 1999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고스기 리우조를 통해 쟈니즈 사무소와 인연을 맺었다. 콘도 마사히코의 〈하이틴 부기〉(1982년), 킨키 키즈의 데뷔 싱글 〈유리의 소년〉(1997년)과 〈제트코스터 로망스〉(1998년) 등의 히트곡을 만들었으며, 쟈니즈 소속 연예인 출연 작품의 주제가도 많이 만들었다.2. 9. 2000년대 전반
2000년대에도 야마시타 타츠로는 꾸준히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2000년 싱글 〈JUVENILE의 테마〜눈 속의 RAINBOW〜〉를 발매했고, 2001년 싱글 너의 목소리에 반했어를 발매했다. 2002년에는 싱글 LOVELAND, ISLAND와 베스트 앨범 《RARITIES》를 발매했다.2003년에는 싱글 RIDE ON TIME을 디지털 리마스터링하여 재발매했고, 싱글 〈2000톤의 비/피닉스〉를 발매했다.[22]
2. 9. 1. 2000년
2000년에 야마시타 타츠로는 싱글 〈JUVENILE의 테마〜눈 속의 RAINBOW〜〉를 발매했다.2. 9. 2. 2001년
2001년, 싱글 〈너의 목소리에 반했어〉를 발매했다.2. 9. 3. 2002년
2002년에는 싱글 〈LOVELAND, ISLAND〉를 발매했으며, 베스트 앨범 《RARITIES》를 발매했다.2. 9. 4. 2003년
2003년에는 싱글 〈RIDE ON TIME〉을 디지털 리마스터링하여 다시 싱글로 발매했다. 또한, 싱글 〈2000톤의 비/피닉스〉를 발매했다.[22]2. 9. 5. 2004년
(원문 소스에 해당 내용 없음)2. 10. 2000년대 후반
2000년대 후반, 야마시타 타츠로는 다양한 음반을 발매하고 여러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2005년 싱글 〈포에버 마인/미다스 터치〉와 앨범 《소노리테》를 발매했고, 2006년 오타키 에이이치,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 30주년 기념반을 발매했다.[20] 2007년에는 아내인 竹内 まりや|다케우치 마리야일본어와 공동 프로듀스한 앨범 《데님》을 발매했다.[35]2008년 싱글 ずっと一緒さ|즛토잇쇼사일본어를 발매했는데, 타이틀곡은 드라마 장미가 없는 꽃집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17] 2009년 싱글 보쿠라노 나츠노 유메 / 뮤즈|보쿠라노 나쓰노 유메 / 뮤즈일본어 (우리들의 여름의 꿈/뮤즈)를 발매했으며, 타이틀곡 보쿠라노 나츠노 유메|보쿠라노 나쓰노 유메일본어 (우리들의 여름의 꿈)는 영화 《썸머 워즈》의 주제가로 쓰였다.
2. 10. 1. 2005년
2005년, 싱글 〈포에버 마인/미다스 터치〉와 앨범 《소노리테》를 발매했다.2. 10. 2. 2006년
오타키 에이이치,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 30주년 기념반을 발매했다.[20]2. 10. 3. 2007년
竹内 まりや|다케우치 마리야일본어와 공동 프로듀스한 앨범 《데님》을 발매했다.[35]2. 10. 4. 2008년
ずっと一緒さ일본어는 2008년 3월 12일에 발매된 싱글이다. 타이틀곡은 드라마 장미가 없는 꽃집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17]2. 10. 5. 2009년
보쿠라노 나츠노 유메 / 뮤즈일본어 (우리들의 여름의 꿈/뮤즈) 싱글을 발매했다. 타이틀곡 보쿠라노 나츠노 유메일본어 (우리들의 여름의 꿈)는 영화 《썸머 워즈》의 주제가로 쓰였다.2. 11. 2010년대 전반
2010년대 초, 야마시타 타츠로의 작품은 베이퍼웨이브 붐을 통해 해외에서 재조명되었다. 특히, 그가 백 트랙을 제작한 다케우치 마리야의 〈플라스틱 러브〉는 비공식 영상임에도 유튜브에서 1억 회 이상 재생되며 해외 팬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2. 11. 1. 2010년
4월 3일에는 싱글 〈희망이라는 이름의 빛〉을 발매했고, 6월 2일에는 싱글 〈거리 이야기〉를 발매했다.[37]2. 11. 2. 2011년
2011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새 앨범 《Ray of Hope》를 발매하여 주간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28][29] 이로써 그는 40년 연속으로 매 10년마다 차트 1위를 기록한 네 번째 가수가 되었다.[28][29]2. 11. 3. 2012년
OPUS 〜ALL TIME BEST 1975-2012〜영어는 야마시타 타츠로의 첫 올타임 베스트 앨범이다.2. 11. 4. 2013년
2013년, 싱글 〈빛과 그대를 위한 레퀴엠〉을 발매했다.2. 11. 5. 2014년
1982년에 결혼한 아내인 다케우치 마리야와 공동 프로듀스한 앨범 《TRAD》를 발매했다.[35]2. 12. 2010년대 후반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야마시타 타츠로는 베이퍼웨이브 붐을 통해 해외에서도 그의 작품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특히, 야마시타 타츠로가 백 트랙을 제작한 다케우치 마리야의 〈플라스틱 러브〉는 비공식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유튜브에서 1억 회 이상 재생되며 큰 인기를 얻었다.[70]2011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새 앨범 ''Ray of Hope''를 발매하여 주간 오리콘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그는 40년 연속으로 매 10년마다 차트 1위를 기록한 네 번째 가수가 되었다.[28][29]
2. 12. 1. 2015년
40주년일본어을 맞이했다.[28][29]2. 12. 2. 2016년
2016년에 야마시타 타츠로는 싱글 〈CHEER UP! THE SUMMER〉를 발매했다.2. 12. 3. 2017년
2017년, 야마시타 타츠로는 싱글 〈REBORN〉을 발매하였다. 또한 앨범 《COME ALONG 3》을 발매하였다.2. 12. 4. 2018년
シングル|싱글일본어 〈ミライのテーマ|미라이노 테마일본어/うたのきしゃ|우타노키샤일본어〉를 발매했다.2. 12. 5. 2019년
2019년에는 싱글 〈RECIPE (레시피)〉를 발매했다.2. 13. 2020년대
2010년대 베이퍼웨이브 붐으로 야마시타 타츠로의 작품이 재조명되어 해외로 퍼져나갔다. 특히, 야마시타 타츠로가 백 트랙을 제작한 다케우치 마리야의 「플라스틱 러브」는 비공식 영상임에도 해외 팬들을 중심으로 유튜브에서 1억 회 이상 재생되었다.2. 13. 1. 2020년
Pocket Music|포켓 뮤직영어 (2020 리마스터)와 Boku no Naka no Shonen|내 안의 소년영어 (2020 리마스터)를 동시 발매했다.2. 13. 2. 2021년
2021년 8월 18일 앨범 《아티산 -30주년 기념 에디션-》을 발매했다.[36]2. 13. 3. 2022년
Tatsuro Yamashita영어는 2022년에 앨범 《SOFTLY영어》를 발매했다.3. 음반 목록
야마시타 타츠로는 오누키 다에코, 무라마쓰 쿠니오와 함께 슈거 베이브라는 밴드로 활동했다.[17] 1975년 슈거 베이브는 유일한 앨범 ''Songs''를 발매했다.[18][1] 1976년 밴드가 해체된 후, 야마시타는 RCA와 계약하고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같은 해에 앨범 ''Circus Town''을 발매했다. 또한 오타키 에이이치[19], 이토 긴지와 함께 ''Niagara Triangle Vol. 1''을 발매했는데, 이 앨범은 MTV에서 최고의 협업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20]
솔로 아티스트로서 야마시타는 13장의 오리지널 스튜디오 앨범, 5장의 커버 앨범, 2장의 라이브 앨범, 여러 장의 컴필레이션 앨범과 50장이 넘는 싱글을 발매했다. 그는 일본 앨범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일본 남성 솔로 가수이며, 총 약 900만 장의 앨범을 판매했다.[33][34]
3. 1. 싱글
연도 | A면 | B면(들) / 더블 A면[49][50][51] | 차트 순위 | 레이블 | 비고 | 앨범 | |
---|---|---|---|---|---|---|---|
JPN[52][53] | A면 | B면(들) / 더블 A면 | |||||
1975 | "다운타운"(야마시타 타츠로 작사, 작곡) | "이츠모 도오리"(오누키 타에코 작사, 작곡) | — | 일렉/나이아가라 | 슈거 베이브의 유일한 싱글 | 송스 | |
1976 | "시아와세니 사요나라" | "드리밍 데이" | 컬럼비아/나이아가라 | 나이아가라 트라이앵글(오타키 에이이치, 이토 긴지와 함께)의 유일한 싱글 | 나이아가라 트라이앵글 Vol.1 | ||
1979 | "봄버" | "렛츠 댄스 베이비" | RVC/RCA | 프로모션 보드 | 고 어헤드! | ||
"렛츠 댄스 베이비" | "봄버" | ||||||
"아이오 에가이테 (렛츠 키스 더 선)" | "시오사이 (속삭이는 바다)" | rowspan="8" | | 문글로우 | 고 어헤드! | |||
"에이엔노 풀문" | "펑키 플러싱" | RVC/AIR | 문글로우 | ||||
1980 | "라이드 온 타임" | "레이니 워크" | 3 | 라이드 온 타임 | 문글로우 | ||
"마이 슈거 베이브" | "데이드림" | 90 | 라이드 온 타임 | ||||
1982 | "다운타운" | "퍼레이드" ['82 리믹스] | — | CBS/소니/나이아가라 | 송스 | 나이아가라 트라이앵글 Vol.1 / 트레저스 | |
"아마쿠 키켄나 카오리" | "뮤직 북" | 12 | RVC/AIR | 그레이티스트 히츠! | 포 유 | ||
1983 | "코우키아츠 걸" | "달링" | 17 | 알파 문/문 | 멜로디스 | 빅 웨이브 | |
"스프링클러" | "플리즈 렛 미 원더" | 34 | 트레저스 | ||||
"크리스마스 이브" | "화이트 크리스마스"(83,86~) / "크리스마스 이브" [영어 버전](90,00~) / "크리스마스 이브" [가라오케](00~) / "크리스마스 이브" [어쿠스틱 라이브](13~) / "스페셜 메들리 (크리스마스송 (타케우치 마리아)~해브 유어셀프 어 메리 리틀 크리스마스)"(14) / "벨라 노테 (라이브)" / "스모크 겟츠 인 유어 아이즈 (라이브)"(19) / "블로우" (홈 가라오케) / "미스티 모브" (홈 가라오케) / "마이티 스마일" (홈 가라오케) / "굿나잇 로지" (홈 가라오케) / "러브 캔 고 더 디스턴스 (홈 가라오케)"(21) | 1 | 멜로디스 | 온 더 스트리트 코너 2(화이트 크리스마스) 등 | |||
1984 | "빅 웨이브 테마" | "아이 러브 유 (파트 I & II)" | 23 | 가사 앨런 오데이 | 빅 웨이브 | ||
1985 | "카제노 코리도오" | "시오사이" [라이브 버전] | 12 | 포켓 뮤직 | 레어리티스 | ||
"도요우비노 코이비토" | "머메이드" | 22 | B면 가사 앨런 오데이 | 포켓 뮤직 | |||
1987 | "오도로요, 피쉬" | "유 메이크 미 필 브랜드 뉴" | 19 | 보쿠노 나카노 쇼넨 | 온 더 스트리트 코너 2 | ||
1988 | "겟 백 인 러브" | "퍼스트 럭 (하지메테노 시아와세)" | 6 | 레어리티스 | |||
1989 | "네오-도쿄 랩소디" | "더 걸 인 화이트" | 76 | B면 영어 가사 앨런 오데이 | 보쿠노 나카노 쇼넨 | ||
"오야스미 로지" [라이브 버전] | "스테키나 고고와" [라이브 버전] | 22 | 조이 야마시타 타츠로 라이브 / 트레저스(스튜디오 버전) | 조이 1.5 [레이 오브 홉 보너스 디스크] | |||
1990 | "엔들리스 게임" | "빅 웨이브 테마" [라이브 버전] | 5 | MMG/문 | B면 가사 앨런 오데이 | 아티산 | |
1991 | "사요나라 나츠노 히" | "모닝 샤인" | 12 | 레어리티스 | |||
"터너노 키칸샤" | "온리 위드 유" [라이브 버전] | 30 | B면 가사 앨런 오데이 | 조이 1.5 [레이 오브 홉 보너스 디스크] | |||
1992 | "아톰노코" | "블로우", "블로우" ['98 리믹스](98) | 18 | 1998년 재발매됨. | 레어리티스 | ||
1993 | "매직 터치" | "아이 두" | 17 | rowspan="3" | | 코지 | ||
"정글 스윙" | 메들리: "벨라 노테" / "해브 유어셀프 어 메리 리틀 크리스마스" | 22 | 트레저스 | 시즌스 그리팅스 | |||
1994 | "퍼레이드" [리믹스] | "다운타운" [싱글 믹스] | 29 | 나이아가라/이스트 웨스트 재팬 | 나이아가라 트라이앵글 Vol.1 / 트레저스 | 송스 | |
"다운타운" | "아메와 테노 히라니 잇파이" | — | 송스 | ||||
1995 | "세카이노 하테마데" | "후타리노 나츠" [라이브 버전] | 24 | 이스트 웨스트 재팬/문 | 트레저스 | 조이 1.5 [레이 오브 홉 보너스 디스크] | |
1996 | "아이노 토모시비 (스탠드 인 더 라이트)" | "코누카 아메" [라이브 버전] | 23 | 멜리사 맨체스터와 듀엣 | 코지 | ||
"드리밍 걸" | "스나노 온나" [라이브 버전] | 25 | rowspan="3" | | ||||
1998 | "헤론" | "헤론" [기타 연주] | 10 | 워너/문 | 레어리티스 | ||
"이츠카 하레타 히니" | "스키 스키 스윗 키스!" / "이츠카 하레타 히니" [스탠드 얼론 버전] | 12 | |||||
1999 | "러브 캔 고 더 디스턴스" | "웬 유 위시 어폰 어 스타" | 18 | A면 가사 앨런 오데이 | 온 더 스트리트 코너 3 | 소노리테 | |
2000 | "주베나일노 테마 (히토미노 나카노 레인보우)" | "아톰노코" [라이브 버전] | 20 | rowspan="2" | | 레어리티스 | 조이 1.5 [레이 오브 홉 보너스 디스크] | |
2001 | "키미노 코에니 코이시테루" | "소 머치 인 러브" [뉴 보컬 리믹스] | 15 | 비앨범 싱글 / 온 더 스트리트 코너 2(이전 버전) | |||
2002 | "러브랜드, 아일랜드" | "유어 아이즈" | 26 | BMG/AIR | 재발매, B면 가사 앨런 오데이 | 포 유 (2002 리마스터) | |
2003 | "라이드 온 타임" | "아마쿠 키켄나 카오리" | 13 | 재발매 | 라이드 온 타임 | 포 유 (2002 리마스터) (보너스 트랙) | |
"2000톤노 아메" [2003 뉴 보컬 리믹스] | "피닉스" | 16 | 워너/문 | rowspan="5" | | 소노리테 / 고 어헤드!(오리지널) | 소노리테 / 소프틀리(2021 버전) | |
2004 | "와스레나이데" | "럭키 걸니 하나타바오" | 14 | 소노리테 | |||
2005 | "포에버 마인" | "미다스 터치" | 8 | ||||
"타이요노 에쿠보" | — | 29 | |||||
"시로이 엄브렐라" | "럭키 걸니 하나타바오" / "카제노 코리도오" [라이브 버전] | 49 | 소노리테 | 소노리테 / 비앨범 싱글 | |||
2008 | "즛토 잇쇼사" | "라 비 앙 로즈" / "엔젤 오브 더 라이트" | 4 | B면 "엔젤 오브 더 라이트" 가사 앨런 오데이 | 레이 오브 홉 | 레이 오브 홉 / 소프틀리 | |
2009 | "보쿠라노 나츠노 유메" | "뮤즈" / "아톰노코" ['09 라이브 버전] | 8 | rowspan="5" | | 비앨범 싱글 | ||
2010 | "마치 모노가타리" | "츠이테오이데" ['09 라이브 버전] | 13 | ||||
"키보우토이우 나노 히카리" | "해피 개더링 데이" | 9 | 레이 오브 홉 | ||||
2011 | "아이시테루테 이에나쿠 탓테" | "코우키아츠 걸" ['09 라이브 버전] | 15 | 비앨범 싱글 | |||
2013 | "히카리토 키미에노 레퀴엠" | "컴포지션" | 10 | 소프틀리 | |||
2016 | "렛 잇 비 미" | — | — | 수베니어〜마리아 타케우치 라이브(라이브 버전) / 익스프레션스(스튜디오 버전) | |||
"치어 업! 더 썸머" | "캔트 테이크 마이 아이즈 오프 유 ~키미노 히토미니 코이시테루" [라이브 버전] | 8 | 소프틀리 | 비앨범 싱글 | |||
2017 | "리본" | "리본" [보컬 세리] /"리본" [하모니카 버전] /"터너노 키칸샤" [라이브 버전] /"드립 드롭" [라이브 버전] | 6 | ||||
2018 | "미라이노 테마" | "우타노 키샤" /"보쿠라노 나츠노 유메 [라이브 버전] | 12 | rowspan="2" | | 소프틀리 / 비앨범 싱글 | ||
2019 | "레시피" | "사우스바운드 #9" [라이브 버전] | 9 | 비앨범 싱글 | |||
2023 | "싱크 오브 썸머" | 5 | 비앨범 싱글 |